본문 바로가기

헌재의 한덕수 탄핵 기각, 그날의 기록과 여운

BinniH2 2025. 3. 24.

헌재의 한덕수 탄핵 기각, 그날의 기록과 여운

2025년 3월 24일 오전 10시. 텔레비전 화면에 “기각”이라는 두 글자가 뜨는 순간, 어떤 이들은 안도의 숨을 내쉬었고 어떤 이들은 허탈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 하나로 우리 사회는 또 한 번 흔들렸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한민국 시민으로서, 그날 느낀 혼란과 분노, 그리고 이후 더 깊게 들여다본 헌재 판단의 논리와 배경들을 담담하게 풀어보려 합니다. 누군가는 알고 있어야 하고, 누군가는 다시는 반복하지 말아야 하니까요.

한덕수 탄핵심판 결과 요약

한덕수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심판은 2025년 3월 24일, 헌법재판소에서 최종적으로 ‘기각’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총 8명의 재판관 중 5명이 기각 의견을, 2명은 각하, 1명은 인용 의견을 제시하며 과반수 기각으로 결론났죠. 이로써 한 총리는 87일 만에 대통령 권한대행직에 복귀했습니다.

이번 결정은 단순히 한 정치인의 복귀를 넘어서, 헌법 해석과 권력 감시의 본질을 다시금 조명하게 했습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탄핵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죠.

재판관들의 표결 구도와 의미

입장 재판관 주요 논리
기각 문형배, 이미선, 김형두, 정정미, 김복형 파면 정당성 불충분, 위헌 행위 불인정
인용 정계선 헌법재판관 불임명·특검 회피 파면 사유
각하 정형식, 조한창 정족수 미달, 대통령 기준 적용 주장

진보·보수 진영을 떠나, 이번 결정은 각 재판관의 헌법 해석과 정치적 균형감각이 얼마나 달랐는지를 보여주는 단면이었습니다.

정족수 논란과 헌법 해석의 충돌

국회가 탄핵소추안을 통과시킬 때 기준이 되었던 151석. 하지만 일부 재판관들은 한덕수가 ‘대통령 권한대행’이었기 때문에 대통령 탄핵 기준인 200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과연 어떤 해석이 맞는 걸까요?

  • 151석 적용: 대행자는 본래 지위인 총리 기준 적용
  • 200석 주장: 대통령 권한 행사자에 대한 탄핵은 더 높은 기준 필요
  • 최종 판단: 헌재 다수는 151석 가결에 헌법적 문제 없다고 봄

재판관 임명 지연, 단순 행정인가 위헌인가

 

가장 뜨거운 쟁점 중 하나였던 재판관 임명 지연 문제. 국민의힘과 한 총리는 ‘인사권자의 재량’이라 주장했지만, 헌재 일부 재판관들은 이 행위를 헌법상 작위 의무 위반이라 판단했습니다.

“그냥 인사 안 한 거 아니야?”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 이건 국가권력의 균형을 흔들 수 있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아래 표에서 주요 의견을 비교해봤어요.

입장 재판관 의견
위헌 임명 거부는 헌법상 의무 위반 (기각 4명 + 인용 1명)
합헌 즉시 임명할 의무는 없다 (김복형 재판관)

내란 방조 판단, 무엇이 문제였나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된 내란 방조 의혹도 있었지만, 증거 부족으로 법적 책임은 묻지 않기로 했습니다. 헌재는 국무회의 소집 건의나 계엄 해제요구 무시 등이 내란에 해당한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찾을 수 없다고 결론지었죠.

내란이라는 단어가 주는 무게감에 비해, 다소 맥 빠진 결론이라 느껴진 것도 사실이에요.

한 시민으로서 느낀 복잡한 감정들

솔직히 말해서, 결과를 듣고선 좀 허무했어요. 뭔가 바뀔 줄 알았거든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나니 복잡한 감정이 밀려왔습니다. 그래서 나름대로 정리해 봤어요.

  • 정의는 과연 실현된 걸까? 혼란스러움
  • 이걸로 끝나도 되는 걸까? 무력감
  • 또 반복된다면... 두려움
  • 그래도 기록은 남아야 한다는 책임감
Q 한덕수 총리는 왜 탄핵 소추됐나요?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내란 방조 및 헌법재판관 임명 지연, 특검 회피 등이 문제로 지적되어 국회에서 탄핵 소추안이 가결되었습니다.

A 국회는 위헌적 국정 운영과 권력 남용 의혹을 중심으로 탄핵을 추진했습니다.
Q 헌재가 '기각'한 이유는 뭔가요?

재판관 다수는 파면에 이를 정도의 헌법 위반은 아니라는 판단을 내렸고, 증거 부족과 정족수 문제도 큰 이유였습니다.

A 정치적 논란은 있었지만, 법적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본 셈이죠.
Q 정족수는 왜 논란이 된 건가요?

151석이냐 200석이냐를 두고 대통령 권한대행의 지위 해석이 달랐기 때문입니다. 결국 헌재는 151석을 인정했습니다.

A ‘권한대행’은 본래 직위 기준으로 본다는 것이 다수 의견이었어요.
Q 헌법재판관 임명 지연은 위헌인가요?

일부 재판관은 헌법상 작위 의무 위반이라 보았고, 일부는 단순한 인사 재량의 영역이라 판단했습니다.

A 결과적으로는 위헌 행위는 맞지만 파면 사유로 보진 않았습니다.
Q 이번 판결은 어떤 의미를 남겼나요?

헌법 질서, 권력 견제, 재판관 독립성이라는 측면에서 여러 쟁점들을 떠올리게 한 사건이었습니다.

A 시민의 눈높이에서 ‘정치란 무엇인가’를 다시 묻게 만든 결정이었죠.

탄핵이라는 단어는 언제나 우리를 긴장하게 만듭니다. 그리고 이번 한덕수 총리의 탄핵 기각 사건은 단순한 법률 다툼 그 이상이었죠. 국민이 느낀 감정, 헌재의 해석, 그리고 정치권의 계산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놓치고 있었는지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감정에만 휘둘리지 않고, 이 기록을 기억하며 민주주의를 더 튼튼하게 만드는 일 아닐까요? 여러분은 어떻게 보셨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나눠주세요.

댓글